아카이브

[JS] Syntax | 15. Optional chaining - 속성 존재여부 확인하기 본문

Language/JavaScript

[JS] Syntax | 15. Optional chaining - 속성 존재여부 확인하기

Rayi 2025. 4. 4. 12:14

JavaScript에서 객체에 대한 조건문을 작성할 때, 특정 속성값이 있는지의 여부가 중요하게 작용할 때가 있습니다.

const user1 = {
    'name': 'Jhon',
    'age': 20,
    'membership': 'plus',
}

const user2 = {
    'name': 'Mary',
    'age': 20,
}

// user2는 membership을 속성값으로 가지지 않기 때문에 에러가 발생합니다
if (user1.membership === 'plus' && user2.membership === 'plus'){
    console.log('all of them have plus membership');
}

이 경우, 해당 객체에 속성값이 존재하는지 먼저 확인한 수 조건문을 작성해야 합니다.

// membership의 존재 여부를 파악합니다.
if (user2.membership === undefined) {
    console.log("there is no membership");
} else {
    console.log(user2.membership);
}

// 속성값을 다룰 때는 조건 연산자를 이용한 처리도 가능합니다.
console.log(user2.membership && user2.membership.splice(2));

하지만 속성 이름이 길어지고 객체의 계층이 깊어질 수록 코드도 늘어나기 때문에, optional chaining(?) 구문을 통해 간단하게 나타내는 것이 좋습니다.

// ?가 붙은 속성값이 존재한다면 이후 접근을 처리하고, 그렇지 않으면 undefined를 반환합니다.
console.log(user2.membership?.splice(2));
728x90
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