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rontend/CSS

[CSS] CSS 선택자 정리

Rayi 2024. 1. 26. 11:35

선택자(Selector)는 마크업 언어에서 작성된 요소들 중 원하는 범위를 선택하는데 사용됩니다.

선택자를 이용하면 원하는 요소들에 CSS 스타일을 적용할 수 있습니다.

 

선택자를 통해 특정 속성(property)을 원하는 값(value)로 설정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법을 따릅니다.

Selector { property : value }
선택자 범위
* 모두
#c id 속성값이 c
.c class 속성값이 c
E 태그 이름이 E
E F E의 하위 F
E > F E의 자식 F
E + F E 앞에 있는 F
E : first-child 부모의 첫 자식인 E
E : link E가 방문 안한 자원
E : visited E가 방문 한 자원
E : active E가 활성화 됐을 때
E : hover E 위에 마우스가 지나갈 때
E : focus E가 선택되었을 때
E : focus-within E의 자식이 선택되었울 때
E : focus-visible E가 선택되었을 때. 단, 버튼은 tab 키로 접근했을 때만 한정
E : lang(c) 설정 언어가 c E
E : not(selector) selector에 해당하지 않는 E
E :: -webkit-scrollbar E의 스크롤바
E :: -webkit-scrollbar-thumb E의 스크롤바 손잡이
E[foo] 속성이 foo인 E
E[foo=“warning”] Foo 값이 warning E
E[foo~=“waring”] 속성값이 공간일 때, 그 중 하나가 warning E
E[lang |= “en”] 속성값이 ‘-‘로 분리된 목록일 때, 왼쪽에서 en~으로 시작하는 E
E#myid Id가 myid E
DIV.warning DIV[class ~= “warning”]

 

728x90