Git

[Git] .gitignore로 필요 없는 폴더 제외하기

Rayi 2023. 5. 12. 01:41

gitignore?

git ignore.

 로컬저장소에서 git을 사용하다보면 가상환경이나 라이브러리같이 크기가 크거나 공유하면 안되는 자료와 같이 공유하면 안되는 파일을 가려야 할 때가 있습니다.

이 때 .gitignore 파일을 사용하면 원하는 파일을 commit 대상에서 제외할 수 있습니다.

.gitignore 파일은 직접 생성하거나, github에서 저장소를 생성할 때 정해진 템플릿을 골라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.

1. gitignore 파일 생성

 작업영역에서 우클릭 > New File... 선택 후 .gitignore라는 이름의 파일을 만들어줍니다.

 

아이콘이 git으로 바뀐 것이 보입니다.

 이제 이 파일 안에 제외하고자 하는 파일의 이름들을 적어주면 끝입니다.

현재 작업영역에 존재하는 가상환경 venv를 제외시키겠습니다.

폴더의 경우 'venv/' 형태로 작성하면 됩니다.

 

이후 로컬 저장소에 있던 Diffusion폴더를 github에 push했을 때 venv 폴더는 제외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.

 

readme는 별도로 추가했습니다.

 

2. github에서 생성

 github에서 새로운 저장소를 생성할 때 Add .gitignore 항목을 찾을 수 있습니다.

 

 .gitignore 드롭다운을 클릭하면 제외할 항목에 대해 다음과 같이 여러 종류의 템플릿이 나옵니다.

예를 틀어 python관련 파일들을 모두 제외하고 싶다면 python을 찾아 선택하면 됩니다.

 

 

 

 

728x90